13.2.2 파일에 대한 권한의 변경
13.2.2.1 “chmod” 명령을 이용한 권한 변경
파일에 대한 권한을 변경할 때는 chmod 명령을 사용한다. 이 명령에는 사용자의 범위, 변경 작업의 내용, 변경 권한의 종류를 지정한다.
13.2.2 파일에 대한 권한의 변경
13.2.2.1 “chmod” 명령을 이용한 권한 변경
파일에 대한 권한을 변경할 때는 chmod 명령을 사용한다. 이 명령에는 사용자의 범위, 변경 작업의 내용, 변경 권한의 종류를 지정한다.
13.2 파일에 대한 권한 변경
13.2.1 파일에 대한 소유자 및 그룹의 변경
13.2.1.1 “chown” 명령 – 파일의 소유 사용자(owner user) 변경
파일에 대한 소유자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chown” 명령을 이용한다. 소유 사용자 정보를 변경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파일에 대한 소유 그룹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Original Book Contents
13.1.4 파일에 대한 권한 체계
아래는 위의 정보 중에서 권한에 대한 정보를 다시 세분화하여 표시한 것이다.
r
w
x
r
–
x
r
–
x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owner 권한
group 권한
기타 권한
각각의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권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13.1.3 파일에 대한 소유 사용자 및 소유 그룹의 체계
Linux에서는 특정 사용자 계정 또는 특정 사용자 집단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금지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구분하여 관리한다. 파일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사용자의 유형을 구분할 때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13.1.2 window 화면에서의 권한 정보의 조회
특정 파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파일이나 directory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아래 화면과 같이 팝업 화면이 나타나는데, 그곳에서 [Properties] 메뉴를 누른다.
13.1 파일 권한(file permission) 체계 이해
13.1.1 파일에 대한 권한 정보 확인
Linux 시스템에서 파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면 해당 파일에 대한 권한을 파악할 수 있다.
아래는 window 화면에서 [File Manager] 프로그램으로 확인한 “testdata”라는 directory의 내용이다. 해당 directory에는 파일과 또 다른 directory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hapter 13 파일 권한 통제
Chapter 주요 내용
여기서는 Linux 시스템에서 파일에 대한 권한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있으며, 아울러 파일에 대한 소유권한과 실행권한을 어떻게 변경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파일 권한 체계
■ 파일에 대한 소유자 변경
■ 파일에 대한 처리 권한 변경
12.7.7 사용자 계정에 대한 사용자 그룹 지정
12.7.7.1 처리 방법에 대한 검토
사용자 계정을 어떤 사용자 그룹에 지정하면 그 사용자는 그 그룹이 가지고 있는 모든 책임과 권한을 이어 받게 된다. 또한 특정 사용자 그룹에 어떤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게 되면, 그 그룹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책임과 권한이 부여되게 된다.
12.7.6 “delgroup” 명령 – 사용자 그룹의 삭제
시스템에서 필요 없는 사용자 그룹을 삭제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그룹을 삭제할 때는 해당 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 주의를 해야 한다.
사용자 그룹을 삭제할 때는 “delgroup” 명령과 “groupdel”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delgroup” 명령은 간편하게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groupdel” 명령은 매우 low-level의 명령으로 상대적으로 세부적인 처리를 할 수는 있지만, 사용하는 것이 복잡하여 일반적인 목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12.7.5 “addgroup” 명령 – 사용자 그룹의 정의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데는 “addgroup” 명령과 “groupadd”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addgroup” 명령은 간편하게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groupadd” 명령은 매우 low-level의 명령으로 상대적으로 세부적인 처리를 할 수는 있지만, 사용하는 것이 복잡하여 일반적인 목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