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사용자의 종류
12.1.1 시스템 기본 사용자와 추가 생성 사용자
12.1.1.1 시스템 기본 사용자
Raspberry Pi에서는 시스템이 설치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계정이 있는데 “pi” 계정과 “root” 계정이다. “pi’ 계정은 시스템 관리를 위해 제공되는 기본 사용자이며, “root” 계정은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super-user 계정이다.
12.1 사용자의 종류
12.1.1 시스템 기본 사용자와 추가 생성 사용자
12.1.1.1 시스템 기본 사용자
Raspberry Pi에서는 시스템이 설치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계정이 있는데 “pi” 계정과 “root” 계정이다. “pi’ 계정은 시스템 관리를 위해 제공되는 기본 사용자이며, “root” 계정은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super-user 계정이다.
Chapter 12 사용자와 사용자 그룹
Chapter 주요 내용
여기서는 사용자 계정의 여러 종류를 설명하고, logon 사용자와 작업 사용자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사용자 계정의 내용을 변경하며,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그룹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사용자의 종류
■ logon 사용자와 작업 사용자
■ 사용자 계정의 시스템 내부 관리
■ 사용자 계정의 생성, 변경, 삭제
■ 사용자 그룹
11.8.2 Raspberry Pi에 Bluetooth 기기 등록 및 해제하기
Raspberry Pi와 외부기기를 서로 연결할 때는 기기연결 요청을 Raspberry Pi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외부 Bluetooth 기긱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누가 연결요청을 시작하는가에 따라서 처리가 약간 달라진다.
● Raspberry Pi에서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11.8 Bluetooth 설정 및 연결
Raspberry Pi 3 model B에서는 Bluetooth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지 않고도 모바일 장치 등 Raspberry Pi 주변의 Bluetooth를 지원하는 다양한 장치와 연결하여 흥미로운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Bluetooth에 대한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Desktop window의 [도구] 영역에 있는 Bluetooth 메뉴를 사용하면 된다.
11.7.2 “ifconfig” 명령을 이용한 활성화 및 중단
우리는 앞에서 network 의 현재 상태를 조회할 때 “ifconfig” 명령을 사용했었다. 그런데 이 “ifconfig” 명령도 option으로 “up” 또는 “down”을 사용하여 network를 활성화하거나 중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network 장치를 활성화할 때 사용하는 명령 형식은 다음과 같다
11.7 network 활성화 및 중단
시스템을 운영하던 도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정 내용이 변경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필요에 따라 network 장치를 중단하고 다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장치를 중단하면 network접속이 끊어지고, 기존에 부여되었던 IP address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접속을 중단하고 새로이 접속을 하게 되면 최신의 설정 내용에 따라 network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11.6.2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고정 IP address 지정하는 방법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IP address에 대한 기본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통상 아래와 같은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iface lo inet lookback
iface eth0 inet dhcp
iface wlan0 inet dhcp
wpa-ssid “wifissid”
wpa-psk “wifipassword”
11.6 static IP address 설정하기
보통 컴퓨터를 network에 연결할 때는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IP address를 부여받는 것이 일반적인데, 필요에 따라 개별 컴퓨터 별로 IP address를 고정시킬 수 있다. 특정 컴퓨터의 IP address를 고정시키는 방법에는 DHCP서버에서 “수동 IP 부여” 방식으로 설정하여 IP address를 고정하는 방법이 있고, 개별 컴퓨터에서 IP address를 지정하는 방식이 있다.
11.6.1 DHCP 서버에서 고정 IP address를 지정하는 방법
통상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처럼 일반적인 소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공유기나 router가 DHCP 서버의 역할을 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 방식에서는 DHCP 서버에서 특정 컴퓨터에 대해서 사전에 정의된 고정 IP address를 지정해 놓을 수 있다. 그러면 그 특정 컴퓨터가 network에 접속할 때 사전에 지정된 고정 IP address가 할당된다. 이때 특정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해서 컴퓨터 하드웨어에 지정되어 있는 Mac address를 보통 사용한다.
11.5.2 설정 파일을 통한 무선 연결 설정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network에 대한 기본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이 파일에서 무선연결에 대한 설정사항을 직접 입력하여 무선 연결을 활성화할 수 있다.
만약 기존에 window Wi-Fi 설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정을 했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을 것인데, 이를 모두 삭제해야 한다.
11.5 무선 연결
Raspberry Pi 3 model 부터는 Wi-Fi 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Wi-Fi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전의 Raspberry Pi model에서 Wi-F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USB Wi-Fi 장치를 구매하여 설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