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 network 활성화 및 중단
시스템을 운영하던 도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정 내용이 변경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필요에 따라 network 장치를 중단하고 다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장치를 중단하면 network접속이 끊어지고, 기존에 부여되었던 IP address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접속을 중단하고 새로이 접속을 하게 되면 최신의 설정 내용에 따라 network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11.7 network 활성화 및 중단
시스템을 운영하던 도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정 내용이 변경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필요에 따라 network 장치를 중단하고 다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장치를 중단하면 network접속이 끊어지고, 기존에 부여되었던 IP address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접속을 중단하고 새로이 접속을 하게 되면 최신의 설정 내용에 따라 network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11.6.2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고정 IP address 지정하는 방법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IP address에 대한 기본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통상 아래와 같은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iface lo inet lookback
iface eth0 inet dhcp
iface wlan0 inet dhcp
wpa-ssid “wifissid”
wpa-psk “wifipassword”
11.6 static IP address 설정하기
보통 컴퓨터를 network에 연결할 때는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IP address를 부여받는 것이 일반적인데, 필요에 따라 개별 컴퓨터 별로 IP address를 고정시킬 수 있다. 특정 컴퓨터의 IP address를 고정시키는 방법에는 DHCP서버에서 “수동 IP 부여” 방식으로 설정하여 IP address를 고정하는 방법이 있고, 개별 컴퓨터에서 IP address를 지정하는 방식이 있다.
11.6.1 DHCP 서버에서 고정 IP address를 지정하는 방법
통상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처럼 일반적인 소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공유기나 router가 DHCP 서버의 역할을 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 방식에서는 DHCP 서버에서 특정 컴퓨터에 대해서 사전에 정의된 고정 IP address를 지정해 놓을 수 있다. 그러면 그 특정 컴퓨터가 network에 접속할 때 사전에 지정된 고정 IP address가 할당된다. 이때 특정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해서 컴퓨터 하드웨어에 지정되어 있는 Mac address를 보통 사용한다.
11.5.2 설정 파일을 통한 무선 연결 설정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network에 대한 기본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이 파일에서 무선연결에 대한 설정사항을 직접 입력하여 무선 연결을 활성화할 수 있다.
만약 기존에 window Wi-Fi 설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정을 했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을 것인데, 이를 모두 삭제해야 한다.
11.5 무선 연결
Raspberry Pi 3 model 부터는 Wi-Fi 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Wi-Fi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전의 Raspberry Pi model에서 Wi-F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USB Wi-Fi 장치를 구매하여 설치해야 한다.
11.4 유선 network 연결
그림 11‑1 Raspberry Pi 유선 LAN Port
Raspberry Pi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유선 Ethernet network에 접속할 수 있도록 LAN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RJ45 connector를 제공해 준다. network에 연결된 LAN 케이블을 Raspberry Pi 시스템의 LAN port에 연결하면 network에 연결됨과 동시에 network LED가 자동으로 깜빡이기 시작한다.
11.3.2 Host name을 이용한 통신
먼저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ping” 명령을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pi@raspberrypi ~ $ ping raspberrypi
PING raspberrypi (127.0.1.1)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raspberrypi (127.0.1.1): icmp_req=1 ttl=64 time=0.182 ms
64 bytes from raspberrypi (127.0.1.1): icmp_req=2 ttl=64 time=0.183 ms
64 bytes from raspberrypi (127.0.1.1): icmp_req=3 ttl=64 time=0.189 ms
11.3 host name 이용
11.3.1 host name 설정하기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시스템 자체에 대한 이름을 host name이라고 한다. 이 host name은 local network에서 Pi시스템 자체를 지칭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시스템에서 Raspberry Pi 시스템과 통신을 할 때 Raspberry Pi 시스템에 부여된 IP address 대신에 host name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11.2.2 IP address 부여 방식 설정
일반적으로 network에서 컴퓨터가 IP address를 부여 받는 방식에는 “자동 IP 부여” 방식이 있고, “고정 IP 부여” 방식이 있다.
DHCP 서버에서 “자동 IP 부여” 방식으로 설정해 놓으면 그 서버가 관리하는 내부 network에 접속되는 개별 컴퓨터에 대해 IP를 자동으로 부여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통상 network에 접속하는 순서대로 자동으로 차례로 하나씩 IP address를 부여해 준다. 이런 방식에서는 현재 IP address가 192.168.0.100까지 부여되어 있으면, 다음에 접속되는 컴퓨터에는 192.168.0.101의 IP address가 부여된다.
11.2 network 설정 정보
11.2.1 network 설정 정보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network에 대한 기본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Terminal 화면에서 해당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