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_Kor_07.3.4 Task Bar (작업표시)

7.3.4 Task Bar (작업표시)

● 기본 기능

이 영역은 현재 수행되고 있는 작업을 나타내고 있다. desktop 화면에서 window로 표시되는 것이 여기에서는 하나의 task를 의미하는 아이콘으로 표시가 된다.

Raspberry Pi_Kor_07.3.3 Application Launch Bar (작업시작)

7.3.3 Application Launch Bar (작업시작)

● 기본 기능

이 영역은 특정 application을 의미하는 아이콘들이 모아져 있는 곳이다.

여기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아이콘에 연결된 application 프로그램이 즉시 실행된다.

자주 사용하는 application을 등록해서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Raspberry Pi_Kor_07.3.2 Menu(시작메뉴)

7.3.2 Menu(시작메뉴)

7.3.2.1 Menu 실행

마우스를 이용해서 [Panel] 왼쪽에 있는 [Menu]를 눌러 보면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룹 목록들이 나타나고 그 하부에 실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목록이 표시된다.

Raspberry Pi_Kor_07.3.1 Panel의 설정

7.3 Panel (메뉴 및 작업표시줄)의 세부 구조

7.3.1 Panel의 설정

Raspberry Pi 시스템에는 Panel의 구성이나 처리할 수 있는 기능, 모양, 위치 등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Panel의 어디서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화면과 같은 팝업 메뉴가 나타난다. 여기서 [Panel Settings]라는 메뉴를 이용하면 필요한 설정작업을 할 수 있다.

Raspberry Pi_Kor_07.2.3 desktop 영역의 구성

7.2.3 desktop 영역의 구성

그림 7‑5 Desktop window desktop 영역의 구성

■ Desktop

[Desktop]은 특정 사용자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환경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그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window라는 형태로 처리 결과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로부터 필요한 사용자로부터 명령이나 입력을 받고, 처리를 한 다음 결과를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한다.

Raspberry Pi_Kor_07.2.2 Panel 영역 구성

7.2.2 Panel 영역 구성

그림 7‑4 pannel의 영역 구성

■ Panel

화면 맨 위에 있는 전체 영역을 [Panel] 이라고 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Panel] 영역은 통상 window를 통제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시스템을 중단하거나, 새로이 시작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 프로그램을 시작하거나 시스템의 전체적인 상태를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한다.

Raspberry Pi_Kor_07.2.1 window 시작화면

7.2 window 기본 구조

우리는 여기서 먼저 window의 기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여기서는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며, 각 항목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별도의 장에서 살펴 보도록 하겠다.

7.2.1 window 시작화면

다음 화면은 window를 처음 시작했을 때 나타나는 window 시작화면이다.

Raspberry Pi_Kor_07.1.3 다른 운영체제 window와의 차이점

7.1.3 다른 운영체제 window와의 차이점

이미 여러분들은 MS Windows나 Mac 운영체제 시스템에서는 거의 모든 작업이 window를 기반으로 처리되고 있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일반 사용자들이 처리하는 간단한 자료관리 작업뿐만 아니라, 시스템 관리자나 운영자가 시스템을 새로이 설치하거나 수정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시스템 설정을 조정하는 작업도 window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아이콘이나 메뉴를 이용해서 처리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Raspberry Pi_Kor_07.1.2 X Windows와 LXDE

7.1.2 X Windows와 LXDE

X Window System은 X11, X, 또는 X-Windows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Unix/Linux 계통의 컴퓨터에서 GUI 환경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framework을 제공한다. X-Windows는 client-server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X-server는 여러 가지 종류의 client 프로그램과 서로 통신을 하면서 작동한다. X-serve는 windows 화면을 내보내기도 하고,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서 처리하기도 한다.

Raspberry Pi_Kor_07.1.1 왜 window를 사용하는가?

7.1 Raspbian 운영체제의 window 특징

7.1.1 왜 window를 사용하는가?

아래는 window 시스템의 화면이다. 간단히 살펴보면 전체적인 모습은 사실 다른 운영체제의 window와 크기 달라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