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_Kor_22.1.3 Pi camera를 이용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

22.1.3 Pi camera를 이용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

22.1.3.1 Pi camera 촬영 명령 개요

Raspberry Pi 전용 camera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명령에 따라 정지화면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Raspberry Pi_Kor_22.1.2 Raspberry Pi camera 처리 API

22.1.2 Raspberry Pi camera 처리 API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Raspberry Pi 전용 camera 기능을 처리하는 API으로 MMAL 방식과 V4L2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22.1.2.1 MMAL (Multi-Media Abstraction Layer)

Raspberry Pi A+/B+시스템은 Broadcom에서 제작한 BCM2835 system board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그래픽을 처리하는 GPU는 VideoCore Ⅳ이다.

Raspberry Pi_Kor_22.1.1 Raspberry Pi 카메라 기본

22.1 Raspberry Pi camera 사용하기

22.1.1 카메라 기본

22.1.1.1 Raspberry Pi 전용 camera 설치

Raspberry Pi 전용 camera는 ribbon cable을 본체에 있는 CSI port에 연결하여 설치한다. camera의 종류와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3.9.3 Raspberry Pi 전용 camera]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Raspberry Pi_Kor_25.2.1 Raspberry Pi와 외부 Interface

25.2.1 GPIO 장치

25.2.1.1 GPIO pin 배치

Raspberry Pi B+ model 이후부터 Raspberry Pi의 board에서 SD card slot의 왼쪽에 숫놈(male) header가 2 줄로 배열되어 있는 40-pin GPIO connector가 장치되어 있다. 각각의 헤더 사이의 간격은 2.54mm(0.1인치)이며, 이는 전자공학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간격의 하나로, stripeboard와 breadboard를 포함한 prototyping platform들을 위한 표준 간격이다.

Raspberry Pi_Kor_24.1.1 Database와 Web의 필요성

24.1 LAMP 개요

24.1.1 Database와 Web의 필요성

지금까지 우리는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단순히 Terminal 화면에서 명령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거나, 특정 application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제한적인 작업을 하는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이 정도의 기능만으로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줄 수 없으며, 여러 가지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하다

Raspberry Pi_Kor_23.1.1 프로그램의 의의

23.1 프로그램 기본 개요

23.1.1 프로그램의 의의

Raspberry Pi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명령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script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 명령을 조합하여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었으며, 때로는 자동으로 그 처리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서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이 제공하는 명령이나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그 이외의 다른 고유한 작업을 처리할 수가 없어서 여러 가지 많은 제약이 있다.

Raspberry Pi_Kor_25.1 Raspberry Pi와 외부 Interface

25.1 Raspberry Pi와 외부 Interface

25.1.1 외부 Interface 의미

일반 데스크톱과 같은 표준 PC들은 동일한 프로그램을 Raspberry Pi보다 훨씬 더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Raspberry Pi는 이들 표준 PC가 제공해 주지 못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외부 기기와의 양방향 interface이다. Raspberry Pi는 외부 기기와의 Interface를 통하여 시스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고, 통제할 수 있다. 외부 기기를 통해서 입력을 받거나 출력을 할 수도 있으며, 외부 장치를 조종할 수도 있다. 외부의 sensor로부터 각종 측정 값을 받아서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embedded program을 작성하여 외부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직접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Raspberry Pi_Kor_25.0 Chapter 25 외부 Interface

Chapter 25 외부 Interface

Chapter 주요 내용

Raspberry Pi는 외부 기기와의 Interface를 통하여 시스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고, 통제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Raspberry Pi의 핵심적인 장치가 바로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port이다. 여기서는 GPIO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interface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GPIO 상세

■ 전기/전자 기초

■ 전자회로 기초

■ interface 준비

■ GPIO Library

■ 디지털 입출력 interface

■ sensor를 이용한 interface

Raspberry Pi_Kor_24.0 Chapter 24 Database와 Web 활용

Chapter 24 Database와 Web 활용

Chapter 주요 내용

여기서는 많은 자료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분석하여 활용하는데 사용되는 database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HTML, script language, web 서버를 활용하여 인터넷으로 다른 사람들과 다양한 동적인 방법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LAMP 개요

■ MySQL Database

■ Apache web server

■ PHP web script language

Raspberry Pi_Kor_23.0 Chapter 23 프로그램 작성

Chapter 23 프로그램 작성

Chapter 주요 내용

여기서는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과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으며, Python, C, Java와 같은 본격적인 프로그램 개발 language를 사용하는 방법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프로그램의 기본 개요

■ Mathematica 또는 Wolfram language

■ Sonic Pi

■ Scratch language

■ Python language

■ C language

■ Java language